티스토리 뷰
제주 4.3사건 문재인 이효리
제주 4.3 사건 추념식, 이효리 예정대로 참석했다고 하고 ..유족 '거절' 요청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가수 이효리가 3일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예정대로 참석한다고 합니다.
이날 오전 9시55분부터 제주 4.3평화공원 추념광장에서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열리는데요.
앞서 이효리가 추념식의 해설자로 참석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자신을 ‘제주 4.3 희생자 유가족’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자제해달라”고 호소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그는 지난 27일 이효리 공식 팬카페를 통해 “4.3은 제주도민의 아픔이라고 감히 입으로 말을 하기도 가슴 아픈 사건이다. 희생자와 유족이 경건히 조용히 치르기를 원하는 자리”라면서 “정중히 나레이션이나 사회를 거절해달라. 부탁한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효리 측은 어떤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제주도청 측은 몇몇 언론을 통해 이효리의 섭외 과정을 설명했는데요.
결혼한 뒤 현재 제주에 살고 있는 이효리는 4.3을 알리는데 함께 하고자 흔쾌히 추념식 참석을 수락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효리는 JTBC ‘효리네민박2’에서 제주 4.3사건을 언급하며 “제주도는 아픔이 있는 땅”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또 사건을 다룬 영화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에 대해 “지슬이란 ‘감자’를 뜻하는 제주도 방언입니다. 4.3사건 당시 피신해 살던 주민들이 감자로 끼니를 때우던 아픔이 녹아있다”고 민박객들에게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날 추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는데요.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입니다.
4·3사건 생존자와 유족 등 1만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날 행사에서 문 대통령은 추도사를 통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립니다.
문 대통령은 대선이 치러지기 전인 지난해 4월 제주를 방문해 4·3 항쟁 유족들을 만나 “대통령으로서 4·3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적인 추념 행사로 4·3 추념식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한 바 있는데요.
제주 4.3사건이란 1948년 이념 갈등이 정부의 과잉진압으로 이어지면서 무고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된 비극입니다. 4·3사건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2만5000∼3만 명이 목숨을 잃었던 사건입니다.
제주 4.3사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자세히 읽어봤는데요. 물론 그게 전부는 아니겠지만 정말 끔찍한 사건이더라고요.
문재인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더는 이념 때문에 희생되는 사람들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제주 4·3사건 희생자의 배상과 보상 추진, 유해 발굴 및 유전자 감식 등 제주 4·3 항쟁으로 인한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국가의 책임도 약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주 4·3사건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서) 보고서가 나왔는데 그것만으로 진상규명과 배·보상이 부족하다고 생각한 국회의원들이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며 "그와 관련한 말씀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제주 4·3사건 항쟁의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공약했는데요.
문 대통령은 대선이 치러지기 전인 지난해 4월 제주를 방문해 제주 4·3사건 항쟁 유족들을 만나 "대통령으로서 4·3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적인 추념 행사로 (4·3 추념식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여야 지도부도 3일 제주 4·3사건의 70주년 추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일제히 제주를 찾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리는 '제주 4·3사건' 추념식에 참석합니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와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도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아 희생자들의 넋을 기린다고 합니다.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정의당의 이정미 대표. 노회찬 원내대표 역시 추념식에 참석하려고 제주로 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제주 4·3사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보자면 1948년 이념 갈등이 정부의 과잉진압으로 이어지면서 무고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된 비극을 말하는데요. 4·3사건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2만5천∼3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한편 사람들은 수십 년간 제주 4·3 사건에 침묵하도록 강요받았는데요. 지난 1980년대 말부터 대학가를 중심으로 제주 4·3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습니다.
특히 과거 정부에선 제주 4·3사건을 "빨갱이들이 대한민국 정부를 반대한 운동"으로 손가락질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는데요. 제주 4·3사건 자체를 알지 못하는 사람 역시 많습니다. 이번이라도 이 사건의 진실에 대해 잘 알아야겠습니다.
제주 4.3 사건 추념식, 이효리 예정대로 참석했다고 하고 ..유족 '거절' 요청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가수 이효리가 3일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예정대로 참석한다고 합니다.
이날 오전 9시55분부터 제주 4.3평화공원 추념광장에서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열리는데요.
앞서 이효리가 추념식의 해설자로 참석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자신을 ‘제주 4.3 희생자 유가족’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자제해달라”고 호소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그는 지난 27일 이효리 공식 팬카페를 통해 “4.3은 제주도민의 아픔이라고 감히 입으로 말을 하기도 가슴 아픈 사건이다. 희생자와 유족이 경건히 조용히 치르기를 원하는 자리”라면서 “정중히 나레이션이나 사회를 거절해달라. 부탁한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효리 측은 어떤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제주도청 측은 몇몇 언론을 통해 이효리의 섭외 과정을 설명했는데요.
결혼한 뒤 현재 제주에 살고 있는 이효리는 4.3을 알리는데 함께 하고자 흔쾌히 추념식 참석을 수락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효리는 JTBC ‘효리네민박2’에서 제주 4.3사건을 언급하며 “제주도는 아픔이 있는 땅”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또 사건을 다룬 영화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에 대해 “지슬이란 ‘감자’를 뜻하는 제주도 방언입니다. 4.3사건 당시 피신해 살던 주민들이 감자로 끼니를 때우던 아픔이 녹아있다”고 민박객들에게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날 추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는데요.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입니다.
4·3사건 생존자와 유족 등 1만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날 행사에서 문 대통령은 추도사를 통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립니다.
문 대통령은 대선이 치러지기 전인 지난해 4월 제주를 방문해 4·3 항쟁 유족들을 만나 “대통령으로서 4·3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적인 추념 행사로 4·3 추념식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한 바 있는데요.
제주 4.3사건이란 1948년 이념 갈등이 정부의 과잉진압으로 이어지면서 무고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된 비극입니다. 4·3사건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2만5000∼3만 명이 목숨을 잃었던 사건입니다.
제주 4.3사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자세히 읽어봤는데요. 물론 그게 전부는 아니겠지만 정말 끔찍한 사건이더라고요.
문재인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더는 이념 때문에 희생되는 사람들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제주 4·3사건 희생자의 배상과 보상 추진, 유해 발굴 및 유전자 감식 등 제주 4·3 항쟁으로 인한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국가의 책임도 약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주 4·3사건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서) 보고서가 나왔는데 그것만으로 진상규명과 배·보상이 부족하다고 생각한 국회의원들이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며 "그와 관련한 말씀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제주 4·3사건 항쟁의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공약했는데요.
문 대통령은 대선이 치러지기 전인 지난해 4월 제주를 방문해 제주 4·3사건 항쟁 유족들을 만나 "대통령으로서 4·3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적인 추념 행사로 (4·3 추념식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여야 지도부도 3일 제주 4·3사건의 70주년 추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일제히 제주를 찾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리는 '제주 4·3사건' 추념식에 참석합니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와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도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아 희생자들의 넋을 기린다고 합니다.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정의당의 이정미 대표. 노회찬 원내대표 역시 추념식에 참석하려고 제주로 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제주 4·3사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보자면 1948년 이념 갈등이 정부의 과잉진압으로 이어지면서 무고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된 비극을 말하는데요. 4·3사건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에 달하는 2만5천∼3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한편 사람들은 수십 년간 제주 4·3 사건에 침묵하도록 강요받았는데요. 지난 1980년대 말부터 대학가를 중심으로 제주 4·3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습니다.
특히 과거 정부에선 제주 4·3사건을 "빨갱이들이 대한민국 정부를 반대한 운동"으로 손가락질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는데요. 제주 4·3사건 자체를 알지 못하는 사람 역시 많습니다. 이번이라도 이 사건의 진실에 대해 잘 알아야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습니다
댓글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